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인용한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해 원인불명 사망자 수는 전년보다 6205명(16.4%) 늘어난 4만4038명으로 집계됐다. 1997년 4만4100명을 기록한 뒤로 25년 만에 가장 많다.
지난해 원인불명 사망자 수는 코로나19 사망자 수(3만1280명), 수년째 사망원인 2위인 심장질환 사망자 수(3만3715명)보다도 많았다.
원인불명 사망은 세계보건기구(WTO) 사인분류 지침에 따라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징후와 임상 및 검사의 이상 소견' 항목으로 분류된다. 이 항목은 식별분류 코드로 알파벳 'R'이 부여되는데 이런 이유로 흔히 'R코드' 사망으로도 불린다.
1990년대 4만명을 웃돌던 원인불명 사망은 2000년 이후 꾸준히 감소해 2014년 2만3800명까지 떨어졌지만, 최근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2020년부터는 3년 연속 10% 이상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지난해 다시 4만명을 넘어섰다.
대표적인 원인불명 사망 유형으로는 고령화에 따른 '노쇠'가 꼽힌다. 지난해 노쇠에 따른 사망자는 2만1485명으로 전체 원인불명 사망의 절반에 달했다. 전년보다 3832명(21.7%) 늘어난 결과다. 원인 미상의 급사'는 전년보다 96명(10.8%) 늘어난 986명이었다. 급사 증후군으로 사망한 영아는 39명이었다.
나머지 2만1528명은 R코드 사망 중 급사·노쇠에도 해당하지 않아 원인을 추정할 수 없는 '나머지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징후' 사망으로 집계됐다. 노쇠·급사 외 원인불명 사망은 1992년(2만8162명) 이후 30년 만에 다시 2만명을 넘어섰다.
통계청 관계자는 "원인불명 사망은 사망자가 늘어나면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라며 "최근 증가세는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사망자가 늘어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10개월여 만에 졸속 개발된 코로나19 백신 부작용이 원인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프랑스 유전학자 알렉상드라 앙리옹 코드는 최근 국내에서 번역돼 출간된 '마법은 없었다'(에디터)에서 세계보건기구(WHO) 백신 이상 반응 데이터베이스 비기 엑세스(VigiAccess)에 따르면 코로나 백신이 한 해 동안 일으킨 부작용은 지난 5년간 독감 백신이 일으킨 부작용의 10배에 달했다고 폭로했다.
2022년 9월까지 모두 1100만건이 넘는 코로나 백신 부작용이 WHO에 보고됐다. 백신 관련 사망자도 7만명에 이르렀다.
특히 백신 부작용은 청년층에서 속출했다. 하버드대와 존스홉킨스대 과학자들은 18~29세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코로나19 백신이 코로나바이러스 자체보다 최대 98배가량 더 위험하다고 결론지었다.
특히 심근염이 눈에 띄는 부작용이었다고 밝히면서 백신이 유발한 피해는 "공중 보건의 이점으로 상쇄될 수준이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된 코로나 백신의 부작용은 월경장애, 혈소판 감소, 면역 장애, 심근염, 신장 손상, 치매 등 20여종이 넘는다. 이처럼 부작용이 속출하는 이유는 코로나 백신이 메신저리보핵산(mRNA) 방식으로 만들어져 각종 자가면역 질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저자에 따르면 mRNA는 핵 안에 있는 DNA의 유전정보를 세포질 안의 리보솜에 전달하는 RNA이다. 주사를 맞으면 이 운반체는 세포로 들어가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라 불리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생산하도록 세포를 프로그래밍한다. 이에 따라 세포들은 스파이크 단백질을 생산하는 "공장"으로 변모한다.
저자는 "이 활성화된 스파이크 단백질이 우리 몸 전체에 끼칠 다른 결과들에 대해선 염두에 두지 않은 채, 우리 몸이 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공격할 항체를 형성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면서 백신이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 스파이크 단백질이 "불활성화되지 않았다는 점, 즉 우리 몸 안에서 공격적인 성질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낯선 스파이크 단백질을 생산해내는 우리 몸의 세포를 우리의 면역 시스템이 공격하게 된다"며 "이것을 막을 수 있는 장치는 아무것도 없다"고 주장한다.
이어 "분명한 것은 이러한 종류의 백신이 우리 몸의 부분적인 자기 파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자가면역 질환의 가능성을 열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는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임상 시험에서 발견된 위험은 백신으로 형성된 항체들이 질병을 막아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질병을 촉진한다는 사실"이라고 지적한다.
그렇다고 백신이 효과가 확실한 것도 아니었다. 미국 보건부가 2021년 2월부터 그해 10월까지 78만명의 은퇴자를 조사한 결과, 백신 보호 기능은 평균 86.9%에서 43.3%로 떨어졌다.
'유럽 전염병 저널'에 따르면 하버드대 연구팀이 68개국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인구 100만명당 가장 많은 코로나 확진자가 나온 국가는 인구 70%가 2차 접종까지 마친 이스라엘, 포르투갈, 아이슬란드였다. 코로나 환자 증가와 백신접종은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다는 게 연구팀의 결론이었다.